'김일성'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0.10.26 자발적 원칙주의 - 나의 독재자 리뷰

자발적 원칙주의

-나의 독재자 리뷰

 

메노키오.

민중사를 대변하는 카를로 진즈부르크의 대표작 [치즈와 구더기]16세기 이태리를 배경으로, ‘메노키오라는 방앗간 주인의 종교재판을 다룬다. 이단으로 고발당한 메노키오는 수도사와의 심문에서, 종교권력의 부패와 교육 불평등을 비판하고, 나아가 예수는 우리와 같은 인간이었다고 주장한다. 투옥된 메노키오는 결국 자신의 종교적 잘못을 인정하고, 아들의 석방 노력으로 방면된다. 가톨릭의 교리에 굴복한 것처럼 보였던 메노키오는, 다시 침묵을 강요하는 사제들을 비난하기 시작하고, 치즈와 구더기가 만들어지듯, 신과 천사가 만들어졌다는 독창적인 천지창조설을 이웃들에게 말하고 다닌다. 결국 또다시 고발된 메노키오는 투옥과 고문을 과정을 거쳐 종교재판을 받고, 화형으로 생을 마감한다.

메노키오를 지배한 것은 가톨릭의 교리와 죽음의 공포가 아닌, 신념에 따라 할 말은 한다는 자발적인 원칙이었다. 필자는 이처럼 타인의 강요 없이 스스로 만든 원칙을 고수하는 이를 자발적 원칙주의자라고 명명한다.

 

김성근.

이해준 감독의 [나의 독재자]에는 무명배우 김성근이 등장한다. 김성근의 꿈은 연기를 통해 당당한 아빠가 되는 것이지만, 문제는 김성근이 연기를 못한다는 것에 있다. 아들을 관객으로 초대한 연극에서, 김성근은 대사 한마디 제대로 내뱉지 못한다. 낙심한 김성근에게 1972년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가상회담의 김일성 역이라는 기회가 찾아온다. 중정의 고문에도 끝끝내 역할을 뺏길 수 없었던 김성근은, 혹독한 훈련을 통해 연기를 잘하는배우로 거듭난다. 하지만 남북정상회담은 무기한 연기되고, 중정의 가상회담팀도 해체된다. 역할에 너무 몰입했던 김성근은, 훈련이 끝났어도 스스로를 김일성이라고 믿는다.

엄마 없이 자라는 아들에게 멋있는 배우이자 좋은 아빠이고 싶었던 김성근의 간절함이, 스스로를 일상의 생각과 행동마저 김일성이어야 한다는 강박을 갖게 만들었다. 그러한 김성근의 원칙은 정신이상의 과정을 거쳐, 급기야 월북을 시도하게 만들고, 그 일을 수습하느라 고입시험마저 볼 수 없었던 아들은, 괴물이 된 김성근을 원수처럼 원망한다. 김성근 역시 스스로 부여한 규율을 고수하다가, 삶의 존재이유였던 아들마저 등을 돌리게 만든 원칙주의자인 것이다. 하지만 김성근에게 자발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기에는, 가상회담팀을 이끌던 중정의 오계장의 말이 계속 귀에 걸린다.

난 네가 김일성인지 아닌지 관심 없어 이 새끼야. 내가 김일성이라고 하면 넌 그냥 김일성이야, 새끼야.”

 

김태식.

김성근에게는 아들 김태식이 있다. 아빠에게 가장 아끼는 딱지를 선물하고, 중정에 감금 돼 있다가 돌아온 아빠를 울며 끌어안던 김태식은, 다단계사원으로 성장한다. 돈이 목숨이라며 열변을 토해내는 김태식에게는 정신이 이상한 아빠도, 자신의 아이를 갖게 된 내연녀도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김태식에게 쌓이는 것은, 돈이 아닌 빚이다. 빚을 청산하기 위해 아빠 소유의 집이 필요했던 김태식은, 정신이 나간 아빠를 다시 만나게 된다.

돈만을 추구하기로 마음먹을 수밖에없었던 엇나간 원칙주의자에게 효도, 사랑, 자아실현이라는 가치는 수단일 뿐이다.

 

()자발적 원칙.

메노키오는 공상 속에서 자신을 순교자라고 믿었는지도 모른다. 메노키오에게 변질된 이단은, 오히려 재판관들이었다. 재판관들을 향해 자신의 철학을 역설하던 메노키오의 자발적 원칙은, 오백년 후 진즈부르크의 [치즈와 구더기]라는 책으로 돌아왔다.

 

1994년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드디어 김성근은 가상회담의 김일성으로, 청와대라는 무대에 오른다. 김성근에게는 리허설도 대본도 필요 없었다. 자신이 김일성보다 더 김일성이기 때문이다. 김일성처럼 김일성의 사상을 역설하는 김성근에게 불쾌해진 대통령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자, 김성근은 아들 앞에서 망신을 당했던 연극 [리어왕]의 대사를 연기하며 눈물을 흘린다.

그날 카메라를 통해 아빠의 연기를 지켜보는 김태식도 울고 있었다. 며칠 후 아빠가 죽고, 집마저 잃은 김태식에게 남은 것은 사랑이었다. 자신의 아이를 가진 내연녀를 찾아가던 순간, 돈만을 추구하던 김태식의 원칙은 사라졌다.

결국 김성근·김태식 부자의 비자발적 원칙이 사라지는 순간은, 원칙 깊은 곳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경험했을 때이다.

 

나의 독재자.

혁명. 자급자족. 충성. 자유민주주의. 공산주의. 예술. 자본주의. 국가.

나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는 누구의 목소리일까.

당장 총살 시키라. 수령은 아버지야. 돈은 목숨이야. 인민은 인민답게. 미제 물건 치우라.

그 목소리가 지시하는 원칙은 자발적인가.

위태롭던 김성근·김태식 부자가 청와대를 나와, 분당을 지나, 남해로 내려갔다. 아빠는 죽었지만, 아들은 태어날 것이다. 김태식이 아들에게 보여줄 연기는 리어왕일까, 김일성일까.

 

그것이 꿈이라면 다시는 깨지 않기를 바랍니다. 친애하는 나의 독재자.

'영화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무산일기  (0) 2020.10.26
영화 국경의 남쪽  (0) 2020.10.26
여배우를 위한 변명  (0) 2020.10.26
목소리의 형태  (0) 2020.10.26
영화 25시  (0) 2020.10.26
Posted by 이탁연
,